전라북도

익산시, 유학생 정착 돕는 맞춤형 프로그램 '착착'

익산시, 유학생 정착 돕는 맞춤형 프로그램 '착착' [국회의정저널] 익산시가 외국인 유학생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자 교육·체험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익산시는 31일 원광보건대학교 보건의료 분야 외국인 유학생 23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한국어 교육을 시작했다. 한국어 교육은 주 2회, 회당 2시간씩 총 48시간 진행되며 지역사회 적응을 돕고자 생활밀착형 회화 중심의 과정으로 구성됐다. 교육에 앞서 지난 29일에는 익산 주요 명소를 탐방하는 시티투어가 운영됐다. 유학생들은 고스락, 이상한교도소, 미륵사지 등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장소를 방문하며 익산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유학생들의 익산 정주 의지를 높이고자 교육발전특구 사업의 일환으로 마련됐으며 교육공동체지원센터와 연계해 진행된다. 교육공동체지원센터는 지역 교육 혁신을 위해 익산시, 원광대학교, 익산교육지원청이 함께 설립한 협력체다. 시 관계자는 "이번 유학생 지원 프로그램은 단순한 체험을 넘어, 지역과 유학생이 함께 성장하는 기반을 다지는 데 의미가 있다"며 "교육공동체지원센터 등과 협력해 정주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익산시는 지난해 2월 교육부 공모사업인 '교육발전특구 1차 시범 선도지역'에 선정됐다. 교육과 정주, 인재 양성의 선순환 구조 구축을 목표로 익산교육지원청과 원광대학교를 비롯한 지역 기관과 함께 3년간 총사업비 229억원을 투입해 26개 사업을 진행한다.

익산시, '청년 성장 한 뼘' 지원사업 참여자 모집

익산시청사전경(사진=익산시) [국회의정저널] 익산시가 청년들의 다양한 사회 활동을 응원한다. 시는 '2025년 청년 성장 한 뼘 지원사업'에 참여할 청년동아리를 4월 7일까지 모집한다. 청년 성장 한 뼘 지원사업은 청년들이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방식으로 사회활동을 펼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마련됐다. 문화·예술·자기계발·봉사·공익·사회활동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을 지원한다. 모집 대상은 익산시에 주소를 둔 18~39세 청년 5인 이상으로 구성된 동아리이며 심사를 통해 7개 팀을 선정해 동아리당 최대 200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선정된 동아리는 월 1회 이상 정기적인 모임과 활동을 진행해야 하며 지원금은 모임비·강사비·홍보비·인쇄비 등 동아리 운영에 필요한 경비로 사용할 수 있다. 신청을 희망하는 청년동아리는 익산시 또는 익산청년시청 누리집에서 공고문을 참고해, 4월 7일까지 신청서와 활동계획서를 담당자 전자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심지영 기업일자리과장은 "청년들이 관심 분야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하며 자립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이번 사업이 청년 간 네트워크 형성은 물론 실질적인 성장의 기회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익산시-익산시의회 의장단 '협력·소통 강화'

익산시청사전경(사진=익산시) [국회의정저널] 익산시와 익산시의회가 올해 두 번쨰 간담회를 개최하며 지역 발전을 위한 협력 체계를 더욱 굳건히 다졌다. 익산시는 3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익산시의회 의장단과 간담회를 열고 지역 주요 현안에 대해 논의하며 협력과 소통을 강화했다. 이번 간담회는 제269회 익산시의회 임시회에 상정될 안건을 공유하고 추경예산 편성이 필요한 핵심 사업들에 대한 협조를 요청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시는 시민 중심의 행정서비스 강화를 위한 '익산시 조직개편'과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만경강 수변도시 조성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원활한 추진에 힘을 모아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동부권 육아 지원을 위한 '육아종합지원센터 설치'와 생태계 복원의 선도 모델 제시 및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한 '왕궁 에덴프로젝트 기본구상 용역비'에 대한 추경예산 반영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익산 디지털 지식산업센터 건립과 제3일반산단 폐기물 처리시설 부지의 용도폐지 및 매각 추진에 따른 공유재산관리계획 승인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김경진 의장은 "시민의 목소리를 더욱 새겨듣고 집행부와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시정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회 차원에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정헌율 시장은 "현안사업 추진과 시정 발전을 위해서는 시의회와의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주요 사업을 사전에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