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

임태희 교육감, “기본은 충실하게, 지역특화 반도체 교육으로 미래의 보배 기르겠다”

임태희 교육감, “기본은 충실하게, 지역특화 반도체 교육으로 미래의 보배 기르겠다” [국회의정저널] 경기도교육청이 21일 이천 수펙스 센터에서 반도체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해 이천시청, SK하이닉스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도교육청은 올해 지역특화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은 이천지역 특산품인 ‘반도체’ 산업과 관련해 지역의 과학 인재 양성을 위해 마련했다. 반도체는 최첨단 과학기술로 국가 경제와 산업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천시청은 반도체 산업에 전폭적 지원을 하고 있고 SK하이닉스는 세계적 반도체 기술, 시설, 장비를 보유하고 있어 반도체 과학교육에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도교육청은 △반도체 과학교육 프로그램 기획·운영 △이천과학고 개교 지원과 반도체 특화교육을 추진한다. 이천시는 △반도체 과학교육 거점 활동 공간 제공 △반도체 과학교육 활성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이천과학고 개교 준비를 위한 민관산학 협력체계 구축을 담당한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공유학교 강사 및 팹투어 지원 △이천 특화 ‘반도체 hy-스쿨’ 개설 및 운영 △경기도 특성화고 반도체 분야 계약학과 교원대상 팹 투어 지원 △이천과학고 반도체 특화교육 협력 등을 지원한다. 임태희 교육감은 “학생들이 기대하는 정책을 교육 당국의 힘만으로 실행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학생이 최고 수준의 글로벌 인재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본에 충실한 학교 교육과 더불어 지역사회와 기업의 협력이 필수적이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우리 학생들이 미래의 보배가 되는 교육시스템을 만들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임태희 교육감, “세계 반도체 중심지에서 미래 과학 인재 기른다”

임태희 교육감, “세계 반도체 중심지에서 미래 과학 인재 기른다” [국회의정저널] 경기도교육청이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지역특화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을 추진한다. ‘지역특화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은 지역의 대학, 기업과의 협력·연계를 바탕으로 과학 전문 인재를 양성하고 과학교육 저변 확대를 도모하는 정책이다. 과학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해 △지역특화 미래형 과학고 신규 지정 △‘ 과학중점학교’ 운영 확대를 추진한다. 지난 3월 지역특화 교육과정 운영 ‘미래형 과학고’ 4교를 신규 지정했다. 일반고의 과학고 전환교는 부천고와 분당중앙고이며 시설 확충과 교원 역량 강화를 지원 중이다. 시흥과학고와 이천과학고는 학교 신설을 위한 행정 절차를 준비 중이다. ‘ 과학중점학교’는 일반고 내 과학·수학에 흥미와 적성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학교다. 과학 중점과정 학생의 74.8%가 이공계열로 진학하며 지역 과학교육 거점 학교 역할을 하고 있어 학생, 학부모들의 평가가 높아 도교육청은 현재 50교인 ‘ 과학중점학교’를 확대할 방침이다. 과학교육 저변 확대는 △경기 미래형 과학실 지역거점 모델화 및 확산 △지역 자원 활용 학생 맞춤형 과학 체험 기회 확대를 추진한다. ‘경기 미래형 과학실’은 학교 현장의 과학교육 방향을 개선한 도교육청의 핵심 정책이다. 이를 지역거점 공간으로 지정하고 수업을 지역사회에 공개해 학생 주도 탐구 중심 과학교육을 확산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 자원 활용 과학공유학교를 운영해 체험 기회를 넓히고 과학 체험 기반을 조성하려 한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역특화 과학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 기업과 협업을 강화한다. 이에 도교육청-이천시청-SK하이닉스와 반도체 과학교육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또한 이천과학고의 성공적 개교와 운영을 위해 인적·행정적 지원 등 상호 협력 관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특히 경기도이천교육지원청은 지역특화 반도체 과학교육 체계 구축을 위해 관내 학교와 ‘교육 섹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한다. 이를 위해 이천시청, SK하이닉스와 협력해 세계 반도체 산업을 이끌 과학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 섹터’를 촘촘히 지원할 방침이다. 교육 1섹터 학교 지원을 위해 △이천시청, SK하이닉스, 반도체인재양성센터와 함께하는 반도체 특화 학교자율과정 운영 △디지털 기반 과학·수학 교원 역량 강화 △첨단 과학실을 활용한 미래형 과학교육 △반도체 관련 교과목 학점인정형 파일럿 프로그램 운영 등을 추진한다. 교육 2섹터 경기공유학교를 통해 반도체 과학 학생 맞춤 교육을 제공한다. △어린이 반도체 과학 교실 △중·고 학생 대상 SK하이닉스, 반도체인재양성센터, 두원공과대학과 연계한 반도체 공유학교 △지역 교육 협력 노벨 과학 공유학교’ △과학·수학 심화 ‘창의 과학 공유학교’ 와 ‘수사반장 공유학교’ 등 15개 프로그램에 총 264명의 학생이 참여하는 등 프로그램을 계속 확대할 방침이다. 교육 3섹터 온라인학교를 통해서는 배움을 깊이 있게 확장하도록 △온라인 공동교육과정 △온라인 반도체 심화 공유학교 △반도체·과학 국제 공동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한다. 한편 도교육청은 지역특화 과학교육 활성화를 통한 미래 과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기업, 대학과 협력해 교육지원청별 특화된 과학교육을 지원할 방침이다. 임태희 교육감은 “경기도에서 교육받은 인재들이 다양한 분야의 세계 최고가 되도록 하겠다”고 강조하며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반도체 등 분야별 특별한 교육으로 우리 학생들이 미래의 보배가 되는 세계적 인재로 커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경기도교육청, 제61년차 경기도영농학생축제 개최

경기도교육청, 제61년차 경기도영농학생축제 개최 [국회의정저널] 경기도교육청이 ‘제61년차 경기도영농학생축제’를 오는 21일과 22일 이틀간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에서 개최한다. ‘꿈꾸는 첨단 농업인, 스마트한 내일을 함께 열다’를 주제로 열리는 이번 행사는 도내 12개 농생명 산업계고등학교 학생과 교사 6백여명이 참가하는 농생명 산업 교육활동 축제다. 이날 개회식에는 홍정표 부교육감, 여주교육지원청 교육장, 여주시장, 서광범 도의원을 비롯해 농생명 계열 고등학교와 여주 관내 중등학교 학교장이 참석했다. 경기도영농학생축제는 농업 환경 보전과 미래 식량 산업의 지속 가능성을 목표로 학생의 진로·직업 역량을 키우고 농생명 산업 교육 모델 발굴을 위해 매년 개최한다. 축제는 농생명 산업 분야별 학생 경연, 농업교육 관련 발표와 토론, 전시·체험 기회 제공 등 다채로운 내용으로 운영한다. 학생 경연은 △전공 경진 △과제 이수 발표 △실무능력 경진 △축제 △글로벌리더십 대회 등 5개 분야 21개 종목에서 열띤 경쟁을 펼친다. 종목별 상위 입상자는 오는 9월 청주에서 개최되는 ‘제54년 차 전국영농학생축제’에 도 대표로 참가할 예정이다. 이 외에 농업교육 관련 교원 현장 연구 주제 발표와 토론도 진행한다. 또한 미래 농업 전공 동아리, 교내 창업동아리, 지역 농산업 기업과 대학이 참여하는 30여 개의 전시 체험 공간을 마련해 여주 관내 중학생 대상 진로 탐색과 체험 기회를 제공한다. 홍정표 제2부교육감은 개회식과 경연장 참관 후 “미래 핵심 과제인 농생명 산업의 열정 가능한 영농인이 되어달라”며 학생들을 격려했다. 이어 “미래 농업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농업교육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콘텐츠 프로슈머로서의 첫걸음 경기온라인학교, 교육연구회와 콘텐츠 제작 콜라보

경기도교육청사전경(사진=경기도교육청) [국회의정저널] 경기도교육청은 교육3섹터 경기온라인학교를 통해 공교육을 확장하고자 한다. 경기온라인학교는 교사들이 직접 콘텐츠를 만들고 학생에게 공유하는 온라인 학습 플랫폼으로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한 자기주도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첫 걸음으로 교육연구회와 함께 공공미술 K-팝 댄스 앱 활용 연주 뮤지컬 경제교육 제2외국어 웹툰 등 10개 주제 100편의 학습 콘텐츠 제작을 추진한다. 특히 영상제작의 기술적 지원을 위한 교원 크리에이터 지원단, 프로슈머로서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과정을 함께 운영하며 제작 공간 공유를 위해 직속기관 스튜디오도 지역별로 활용할 예정이다. 경기도교육청은 콘텐츠 공모전, 교원 크리에이터와의 협업, 전문업체 활용 제작 등 다양한 온라인 교육 콘텐츠 확보를 위한 사업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자 한다. 경기온라인학교에서 학생은 원하는 학습을 요청하고 교육연구회, 교원 크리에이터 지원단, 온라인학교 강사 인력풀 등을 통해 학생 맞춤형 콘텐츠를 학생에게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온라인학교는 2025년 7월 시범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3섹터 경기온라인학교는 배움의 기회를 온라인으로 확장해 학생 스스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새로운 공교육의 체제이다”며 “교육전문가인 선생님들이 콘텐츠 제작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고 학생의 요구를 반영한 학습을 제공해 개별 맞춤 학습을 지원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More News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