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부안군 농업기술센터는 최근 기상과 보리 생육상황을 분석한 결과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맥류 생육재생기가 전년보다 7일 늦은 15일로 판단됨에 따라 웃거름 적정 시용과 제초제 처리 등 재배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생육재생기는 겨울철 생장을 멈췄던 맥류 지상부 1㎝ 부위에서 잎을 잘라놓고 속잎 신장이 관찰되는 시기로 일평균 기온이 0℃ 이상으로 5일 정도 지속되고 새 뿌리가 2~3개 돋아 나오는 것을 확인해 결정한다.
군은 보리 2개소, 밀 1개소 관찰포를 운영해 15일을 맥류 생육재생기로 판단했으며 오는 25일까지가 월동잡초 제거와 웃거름 시용 적기로 보고 영농현장 기술지도에 나섰다.
이에 따라 이달 하순까지 온도가 낮을 때 독새풀과 광역잡초가 혼재한 보리밭에는 티펜설푸론메칠 입상수화제를 10℃ 이하 저온기에 살포해야 하며 독새풀이 발생한 보리밭은 페녹사프로프-피-에틸 유제를 뿌려 잡초방제를 해야 함과 동시 방제할 때는 중복 살포 및 과량 사용으로 인한 약해가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또 웃거름은 생육재생기 후 10일 이내 요소를 10a당 10㎏ 정도 뿌려줘야 하고 생육이 좋은 포장은 1회, 생육이 부진한 포장은 요소 비료를 2회로 나눠 주는 것이 효과적이며 1차는 생육재생기에 주고 2차는 20일 후에 10a당 5㎏씩 주면 된다.
특히 조사료로 이용하는 청보리는 일반보리보다 30% 정도 많은 10a당 4.9~7.0㎏을 주는 것이 좋으며 토양과 품종 특성에 따라 조절해 주면 된다.
생육재생기에는 봄철 많은 강수량으로 인해 논물이 고일 수 있으므로 연약한 뿌리가 습해를 받지 않도록 배수로 정비도 잘 해야 하며 습해가 발생되면 생육이 좋지 못할 경우 요소액 2%를 1000㎡당 100ℓ씩 5~7일간격으로 2~3회 살포해주면 생육 회복에 도움이 된다.
보리 눌러주기 작업은 서릿발이 발생해 뿌리가 노출되는데 이러한 농작업은 동해와 건조 피해를 경감할 수 있고 도장 및 무효분얼을 억제해 이삭수를 증가시켜 균일한 출수 유도와 수량을 증대시킨다.
군 관계자는 “맥류 생육이 다시 시작되는 시기의 포장관리가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만큼 보다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