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가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마친 뒤 처음으로 7개 역을 대상으로 입찰을 진행한다. 대상 역은 성수·종각·을지로4가를 비롯해 독립문, 신사, 마포, 수진역이며, 입찰은 오는 8월 19일 시작해 29일 마감된다.
‘역명병기’는 지하철 역명 옆이나 아래에 기업이나 기관명을 함께 병기하는 방식으로, 한글과 영문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낙찰된 기관명은 역사 내 폴사인, 출입구와 승강장, 안전문 표지판, 전동차 단일노선도 등 총 8종의 매체에 적용되며, 하차 안내 방송에도 반영된다.
공사는 최근 노후 시설에 따른 안전투자비 증가와 원가 이하 운임 체계, 무임 수송 확대 등으로 재정 부담이 커지자, 이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수익 사업을 추진해왔다. 역명병기 유상판매도 2016년부터 운영돼 왔지만 지난해에는 공공성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공사는 지난 7월 ‘역명병기 유상판매 세부운영지침’을 개정하고 심의 절차의 공정성을 높이는 제도 개선을 마쳤다.
이번 입찰은 개정된 지침에 따라 2단계 절차로 진행된다. 1단계에서는 접근성과 공공성을 중심으로 한 정량평가(70점)와 심의위원회의 정성평가(30점)를 합산해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을 획득한 기관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다. 이후 2단계에서는 최고 금액을 제시한 기관을 최종 낙찰자로 선정한다.
입찰에 참여하려는 기관은 해당 역 반경 1km 이내(서울 시내 기준, 시외는 2km)에 위치해야 하며, 낙찰 시 3년 동안 병기역명을 사용할 수 있다. 재입찰 절차 없이 한 차례 연장 계약(3년)도 가능하다.
현재 37개 역에서 병기역명이 운영되고 있으며, 참여 기관들은 홍보 효과와 이용객 편의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올해 계약이 종료된 역들의 재계약률도 100%를 기록하는 등 사업 성과가 확인되고 있다.
손병희 전략사업본부장은 “제도 개선을 통해 공공성을 강화하고 심의 과정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했다”며 “이번 사업은 공사의 재정 건전화뿐 아니라 참여 기관의 브랜드 가치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