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김제시는 배움의 기회를 놓쳐 학교를 다니지 못한 주민에게 제2의 학습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추진한 ‘초등학력인정 문해교육사업’을 운영해 올해 두 번째 졸업생을 배출하게 됐다고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문해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는 어려움 속에서도 기초한글교육과 창의적 체험학습교실 등 학력인정을 위한 총 학습이수 시간인 240시간을 이수했으며 지난 1월 전라북도교육청의 종합이수평가를 거쳐 초등학력인정 적합통보로 최종 8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게됐다.
성인문해 초등학력인정과정은 학령기 어렵고 힘든 사정으로 학교를 다니지 못한 성인을 대상으로 기초한글교육과 생활기능문해교육 등 제2희 학습기회를 제공하고 초등학교 졸업과 동등한 학력인정의 길을 열어주는 제도이다.
이번에 최종 학력인정 통보를 받은 정금순님은 ‘그동안 이름 석자도 못 써서 받은 설움은 말로 표현 못 할 정도로 많지만 이렇게 초등학교 졸업을 하게됐다니 꿈만같다’고 소감을 전하며 ‘코로나19로 배울 수 없게 될까 봐 마음을 졸여가며 공부한 기억이 새삼 떠오른다’고 말했다.
그간 김제시에서는 중⬝고급 수준의 초등학력인정 문해교육 2개반을 비롯해 교육부/전라북도 성인문해교육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시내권 3개소 6개반, 6개 읍면동 한글사랑방 등 기초한글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한글교육과 함께 금융문해/건강문해/안전문해교육 등 생활밀착형 한글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이성문 인재양성과장은 ‘어르신들의 배움을 향한 열정이 초등학력인정 졸업이라는 꽃을 피운 것 같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문해교육사업 추진을 통해 글을 몰라서 받은 설움과 한을 풀어드리고 세상을 더 선명하게 볼 수 있도록 내실있는 교육운영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