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경상남도교육청은 4일 오전 산청교육지원청에서 ‘2021년 산청교육 업무협의회’를 개최해 산청의 지역 현안과 미래교육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종훈 교육감, 장태분 산청교육지원청 교육장, 유·초·중·고 교장과 산청도서관장 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업무협의회를 시작하기에 앞서 본청 정책기획관에서 지난 6년간 지역 건의사항 이행 결과와 정책 반영사항을 안내했다.
이어서 장태분 교육장의 사회로 진행된 지역교육 현안협의에서는 관내 교직원·교육공무직을 대상으로 지역의 시급한 현안 주제들로 설문문항을 만들어 온라인 문답과 그 결과를 공유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산청교육 가족들의 집단지성을 통한 공동사고로 수렴한 주제 중 가장 화두가 된 것은 ‘지역 맞춤형 교실수업의 혁신 방안’이었다.
교육본질을 추구하는 수업혁신을 위해 행정업무 지원팀 지원 맞춤형 교육활동 지원기반 조성 미래교육을 위한 첨단 소프트웨어 환경 기반 조성이 우선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설문 응답결과를 참고로 해 진행된 열띤 토론 결과 천왕봉행복지구와 함께 온 마을이 함께하는 교육과정 운영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및 학생 동아리 프로젝트 지원 거점 협력형 마을학교 활성화 등으로 ‘온 마을이 나서서 학생들의 배움과 성장을 지원하는 것이 수업혁신의 시작’이라는 결과를 도출했다.
수업혁신을 넘어 미래교육으로 나아가기 위해 지원청에서의 아이톡톡 활용 지원 그리고 간호고에서의 전문적학습공동체와 연계한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운영사례를 예로 들었다.
계속해서 산청초의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행복학교를 운영하는 단성초의 배움중심수업 활성화 사례를 공유했고 이어서 지리산고등학교에서는 온라인 수업과 교실수업을 융합한 블렌디드 러닝수업으로 미래수업혁신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을 소개하기도 했다.
두 번째 주제로 선정된 ‘소규모학교 살리기 방안’으로 시지역과 차별화된 학생중심 지원 지역학생을 위한 문화 공간 확보 마을이 중심되는 학교문화 변화 및 공간혁신을 최우선 지원과제로 응답했다.
이를 위해 노력하는 일선 학교 중 작은학교 살리기 중점지원학교로 선정된 금서초등학교는 삼성스마트스쿨과 연계한 특색교육 운영 및 ‘5일 학교 생활해 보기’라는 참신한 프로젝트를 소개해 참석자들의 좋은 반응을 얻었다.
세 번째 신안초등학교의 ‘놀며 관찰하며 맛보며’ 약초사랑 교육과 오부초등학교에의 모내기-벼베기-수확하기-가공쌀로 이웃과 나누는 벼농사 일년 프로젝트 학습으로 생태환경교육을 몸소 실천하는 좋은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서 진행된 ‘경남교육의 대전환을 위한 열린 대화’ 시간에는 코로나19로 새롭게 조망된 학교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보고 블렌디드 수업, 교육과정 운영, 기초학력 신장 등의 운영 사례를 함께 나누었다.
그리고 경남교육 대전환의 해를 맞이해 경남의 교육현장이 그리고 산청교육현장이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종훈 교육감은 ‘경남교육의 대전환, 새로운 미래교육에 대한 우리의 응답’이라는 주제로 협의회를 마무리하며 “산청의 모든 교육가족이 집단지성을 위한 공동사고로 산청교육을 위해 협력하고 소통할 때 경남교육의 대전환은 큰 동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며 미래교육을 위해 함께 노력해 주기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