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26일 오전, 서울지하철 4호선 한 열차 내부는 이해할 수 없는 문장들로 가득 찬 낙서로 뒤덮였다. 황당하고 의미를 파악할 수 없는 문구들은 한 남성 승객에 의해 적힌 것으로 밝혀졌으며, 해당 열차는 결국 차량기지에 입고되어 10여 명의 직원들이 투입된 끝에 원상복구될 수 있었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번 사건을 포함해 열차 내 낙서, 고의 파손 등 모든 불법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해 대응할 방침이다. 불법 행위자는 끝까지 추적해 경찰 고발 및 구상권 청구 등 법적 책임을 물을 계획이다.
사건은 5월 26일 오전 8시 40분경, 대야미역에서 4호선 열차에 승차한 한 남성으로부터 시작됐다. 그는 약 20분 후인 오전 9시경 좌석에서 일어나, 10여 분에 걸쳐 4개 칸을 이동하며 벽면에 불법 낙서를 남겼고, 오전 9시 10분경 오이도역에서 하차했다.
열차는 오후 3시 50분경 운행을 멈추고 차량기지에 입고되었으며, 내부 낙서 제거를 위해 10명의 인력이 투입됐다. 사건 발생 후 약 1시간 만인 오전 10시 50분, 차량 직원이 이상 상황을 파악하고 경찰에 신고했지만, 실질적인 증거 수집과 조치는 차량기지 도착 이후에야 가능했다. 해당 사건과 관련된 민원은 총 4건 접수됐다.
공사는 열차 미관을 훼손하고 이용 승객에게 불쾌감을 준 이번 낙서 행위에 대해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객실 CCTV 영상자료를 경찰에 제공하고, 절차에 따라 구상권을 행사하는 등 엄정하게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한편, 공사는 과거에도 유사 사례에 대해 끝까지 추적해 손해 배상을 청구한 바 있다. 2023년 3월, 2호선 열차에서 승객이 반개창을 떼어 간 사건에서는 경찰 수사를 통해 가해자를 특정했고, 같은 해 11월 6호선에서는 유리 출입문을 고의 파손한 승객에게 복구 비용을 청구했다.
박병섭 서울교통공사 차량본부장은 “지하철은 시민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공사는 앞으로도 불법 낙서나 고의 파손 등 시민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행위에 대해 끝까지 추적해 무관용 대응을 하겠습니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