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 정원문화 배우고 나만의 정원 가꿔요”
[국회의정저널] 광주시립미술관은 오는 6월 19일부터 20일까지 이틀간 시립미술관 세미나실과 중외근린공원 내 아시아예술정원에서 ‘아시아의 자연과 정원’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립미술관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공동주관하는 이번 프로그램은 아시아 각 지역의 자연환경과 정원문화를 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한 현장 참여형 체험 프로그램이다.
정원이라는 일상적 생태 문화공간을 통해 자연과 인간, 예술의 관계를 조망하고 시민들이 아시아 문화의 다양성과 공존의 가치를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했다.
프로그램은 총 4회로 이론과 실습 과정으로 구성됐다.
우선 이론 교육을 통해 아시아 권역별 정원문화의 특성과 배경을 학습한 뒤 아시아예술정원을 직접 탐방한다.
강연은 한국정원협회 이사이자 천리포수목원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인 김장훈 전문정원사가 맡는다.
김 정원사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에서 응용생물화학을 전공하고 서울대학교대학원에서 산림환경학 석사과정을 마쳤다.
수원시 녹지연구사로서 일월수목원과 영흥수목원의 조성·운영을 담당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기관에서 식재 설계, 가드닝 자문 및 정원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아시아예술정원은 중앙아시아 초지, 서아시아 사막, 동남아시아 우림, 남아시아 고산지대 등 4대 권역의 생태 경관을 반영해 설계했다.
이곳에서는 자연환경에 따른 정원의 구성, 재료, 식물의 차이를 직접 보고 듣고 느끼며 관찰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정원 투어 이후 아시아 유래 식물을 활용해 자신만의 정원을 만들어보는 가드닝 체험을 한다.
화분과 식물이 개인별로 제공되며 단순한 식재를 넘어 아시아 정원의 미감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예술 체험의 기회도 잡을 수 있다.
프로그램 신청은 5월 26일부터 6월 17일까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누리집에서 받는다.
회차당 인원은 15명으로 선착순 마감되며 참가비는 무료다.
윤익 광주시립미술관장은 “이 프로그램은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긴밀한 협업을 통해 마련됐다”며 “정원이라는 도심 속 공공자원을 매개로 시민들이 문화예술과 생태 감수성을 함께 체험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윤 관장은 이어 “앞으로 다양한 유관기관들과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정원과 예술이 결합된 다채로운 교육 콘텐츠를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회의정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