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경제] 표본가구의 43.7퍼센트는 현재 소득에 만족했고 16.2퍼센트는 그렇지 못했다고 조사됐다.
2023년 연평균가구 총소득은 4천596만 4천 원, 총자산평균은 1억 4천69만 5천 원, 총부채액 평균은 8천912만 2천 원으로 나타났다.
월평균생활비는 215만 5천 원이며 ‘식료품비’, ‘교통비’ 등 순으로 지출했다.
[가족 및 돌봄] 표본가구의 47.2퍼센트는 현재의 가족생활 전반에 대해 만족했고 4.3퍼센트는 그렇지 못했다고 조사됐다.
성인가족 돌봄부담은 ‘경제적 부담’ 이 가장 높았고 필요한 지원은 ‘식사지원서비스’, ‘건강의료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 양육 과정에서도 ‘경제적 부담’ 이 가장 높았고 필요한 지원은 ‘돌봄바우처 또는 현금지원’, ‘가정 내 돌봄서비스’ 순이다.
한편 1인 가구의 가장 어려운 점은 ‘몸이 아프거나 위급할 때 대처’였으며 필요한 지원 정책은 ‘주거지원 정책’, ‘질병 등 응급상황 대응 정책’ 순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및 삶의 질] 표본가구의 공동체 인식은 합산평균 3.5점, 주관적 삶의 만족도는 합산평균 3.29점으로 나타났고 지난 1년간 전반적 삶의 만족도는 ‘만족한다’ 56.3퍼센트, ‘만족하지 않는다’ 6.1퍼센트로 조사됐다.
[복지인식 및 정책] 부산시 복지정책 방향에 대해서는 ‘분배 우선’ 이 ‘성장 우선’보다 높게 나타났고 복지대상은 ‘모든 시민 대상’ 이 ‘가난한 사람 집중’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또한, 타지역 대비 부산시 복지사업 수준은 ‘충분하다’, ‘부족하다’로 나타났다.
생활영역별 부산시 지원 만족도는 ‘건강’, ‘주거’, ‘교육’ 등 순으로 높았고 중요도는 ‘성인돌봄’, ‘아동돌봄’, ‘고용’, ‘건강’ 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가 강화해야 할 사업으로 청년세대는 ‘고용지원’ 이 34.8퍼센트, 중장년세대는 ‘경제적 지원’ 이 18.7퍼센트, 노년세대는 ‘의료 지원’ 이 35.1퍼센트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부산시에 더 필요한 복지시설은 ‘육아지원시설’, ‘취업지원시설’, ‘어르신을 위한 시설’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부산광역시복지실태조사' 결과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시 빅-데이터웨이브 누리집 통계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정태기 시 사회복지국장은 “정기적 실태조사로 부산시민의 생활 모습과 소중한 의견을 담은 부산형 복지통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지속적인 데이터 축적과 활용을 통해 좋은 이웃으로 연결되는 따뜻한 복지공동체 '안녕한 부산'을 이뤄나가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