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기정통부, ‘데이터 품질인증 방침’ 발간

    데이터 품질인증 절차와 기준 명확화, 데이터 유통 및 기업 경쟁력 강화 기대

    by 편집국
    2025-02-26 13:06:0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회의정저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은 데이터 품질인증 제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기업들이 데이터 품질인증을 준비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데이터 품질인증 방침'을 발간했다.

    동 방침은 품질인증의 절차와 효과, 심사 기준 및 준비 사항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유통·거래 시 신뢰성을 높이고 기업의 데이터 품질 관리 역량 향상을 통해 고품질 데이터 생산 환경 구축을 지원하고자 데이터 품질인증 제도를 도입·운영 중이다.

    2022년 4월 시행된‘데이터 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제20조에 근거해 운영되는 동 제도는 △ 데이터 내용 △ 데이터 관리 체계의 품질 수준을 심사·평가해 인증한다.

    데이터가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지 평가 데이터 품질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개선하는 체계·기반을 마련하였는지 평가 과기정통부는 2023년 7월, ㈜씨에이에스, ㈜와이즈스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등 3개의 품질인증기관을 지정한 후, 같은 해 11월에 정형 데이터 품질인증 신청·접수를 개시하고 2024년 7월에는 비정형 데이터 품질인증과 데이터 관리체계 인증으로 제도를 확대했다.

    과기정통부는 품질인증 제도 확산을 통해 고품질 데이터 생산·유통 활성화를 견인해 인공지능 서비스 경쟁력 강화 및 안정적인 데이터 거래 환경을 조성하고자 동 방침을 개발했다.

    가이드라인은 총 3권이며 데이터 품질인증 절차 및 효과, 인증 대상별 심사 기준 및 절차 등으로 구성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권 : 데이터 품질인증 소개] 데이터 품질인증 제도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도의 목적과 추진 체계, 인증 주요 절차, 인증 획득 효과, 그리고 데이터 품질 인증을 받은 기업의 실제 사례를 담았다.

    [2권 : 데이터 내용 인증] 데이터 내용 인증은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데이터값 오류 수준을 심사해 인증하는 것을 말한다.

    동 권은 데이터 내용 인증의 세부 심사 절차, 인증 신청 시 준비 서류, 인증 등급 판정 기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추가로 기업의 데이터 품질 관리 담당자가 자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의 품질을 사전에 확인할 수 있도록 심사 기준별 품질 진단 방법을 포함했다.

    [3권 : 데이터 관리체계 인증] 데이터 관리체계 인증은 데이터 기반 사업, 데이터 체계, 데이터를 관리하는 조직의 데이터 관리체계 수준을 심사해 인증하는 것을 말한다.

    동 권은 데이터 관리체계 인증의 세부 심사 절차, 인증 신청 시 준비 서류, 인증 등급 판정 기준 등 내용으로 구성되며 기업의 데이터 품질 관리 담당자가 기업의 데이터 관리체계를 수립하거나 품질 관리 수준을 자체 점검하는데 참고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데이터 품질 인증 방침은 특히 ‘품질인증 우수 사례’, ‘데이터 오류 사례’, ‘자주 묻는 질문’등 사례를 바탕으로 구성해 기업들이 효율적으로 인증을 준비할 수 있도록 했다.

    과기정통부는 데이터 거래 시 품질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인증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품질 인증 실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등 제도의 접근성을 높여갈 예정이다.

    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인공지능 기술은 학습데이터의 품질에 크게 의존하며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은 인공지능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고 강조하고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 품질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어, 이번 방침을 통해 기업들의 데이터 품질 관리 역량이 향상되고 인공지능 서비스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앞으로 현장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해 데이터 오류 사례를 보완하는 등 동 방침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국회의정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