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어려운 재정여건 상황에서도 적재적소의 예산 투입을 통한 재정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중복, 연례 반복 사업과 집행률이 저조한 사업을 과감히 축소하는 등 강력한 세출 구조조정을 통해 마련된 재원은 지역경제활성화, 약자보호 및 취약계층 보호, 재난안전관리, 시정핵심사업 등을 위한 사업에 우선 편성했다.
주요 재원은 일반회계 기준 지방세 1,589억원 및 세외수입 597억원, 지방교부세 5,041억원, 지역소멸대응기금 18억원, 조정교부금 300억원, 국·도비보조금 4,967억원, 순세계잉여금 300억원 등이다.
주요 사업으로는 △강릉사랑상품권 발행 67억원, △강릉형 일자리 지원사업 21억원,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 건립 58억원, △문화도시 조성 30억원,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27억원, △강릉 초당동 유적 역사문화권 정비사업 52억원, △안목 죽도봉 스카이벨리 조성 17억원,△강릉 남부권 수영장 건립사업 50억원, △주문진 공영버스터미널 조성 및 운영 44억원, △연곡지구 연안정비사업 92억원 △어촌뉴딜300 41억원, △유기질 비료 공급 23억원, △입암동 남대천우안배수분구 도심침수예방사업 65억원, △사천1단계, 옥계2단계 하수관로 정비 사업 51억원 및 △환동해권 복합물류거점 기지조성 50억원, △해안변 녹지축 공원화 조성사업 72억원, △경포호 수질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사업 90억원 등을 편성했다.
강릉시 관계자는 “2025년은 정부의 건전재정 기조 등으로 인해 재정적으로 어려운 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재정의 역할이 필요한 곳에 제대로 투자해 민생의 어려움을 지원하고 지역발전을 견인할 수 있도록 예산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한편 2025년도 예산안은 제318회 강릉시의회 제2차 정례회를 거쳐 다음달 13일 확정될 예정이며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해 신속히 집행될 수 있도록 연내 사전준비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