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연일 고공행진 속에 있는 가운데 애플레이션이(applelation)라는 신조어가 탄생했다.
애플레이션은 사과(apple)와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 상승)을 결합한 용어로 사과를 포함한 과일 가격의 급격한 상승 현상을 나타낸다. 사과 가격의 상승이 다른 과일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도미노 효과도 발생하고 있다.
애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으로는 이상 기후, 농업 인력 부족, 초고령화와 사과 재배 면적의 감소 등을 꼽을 수 있다. 애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는 지난 총선에서 여당이 참패에 원인 중 하나이기도 했다.
애플레이션을 부르는 농산품 고물가의 주원인은 천재지변이나 기상이변으로 생산량을 조절할 수 없는 가격 통제가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강대국들의 영토분쟁으로 발생한 전쟁으로 에너지 생산이 중단되고 세계 최대 곡창지대가 전쟁의 여파로 곡물 수송이 막혀 물가를 올려놓고 있다.
한동안 대파 한 단에 8,000원, 쪽파 한 단에 12,000원, 오이 하나에 2,000원 하던 채소가격은 일기가 고르고 작황이 좋아지면서 하향(下向) 안정세로 거의 예년 수준으로 돌아가 주부들의 시름을 덜어 주고 있지만 이번에는 치킨, 햄버거, 조미김과 초콜릿 등 식품 가격이 들썩이며 인상을 하겠다고 한다. 최근 2년간 폭염과 가뭄으로 전 세계 올리브유 40% 이상을 생산 공급했던 스페인이 가뭄으로 올리브 생산이 반토막 나자, 전년 대비 80% 이상 인상시키기도 했다. 올리브뿐만 아니라 초콜릿의 원료인 코코아도 지난해 생산량이 급감해 가격이 크게 오르기도 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먹거리 물가는 OECD 35개국 중 3위로 서민들은 허리가 휜다고 아우성치고 우리 경제의 근간이 흔들린다고 할 정도로 먹구름이 덮쳐오고 있다.
식품 유통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형 김 제조업체인 성경김, 대천김, 광천김이 제품 가격을 평균 15∼20% 인상했다. 업계 1∼2위인 동원F&B와 CJ제일제당도 조만간 제품 값을 인상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한국해양수산원에 따르면 마른 김의 지난달 도매가격은 속(100장)당 9,893원으로 한 달 새 33.7% 급등했고 1년 전 5,559원과 비교하면 78%가 올랐다고 한다.
초콜릿의 원료인 코코아 가격도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다. 코코아의 주산지인 서아프리카의 악천후와 작물에 번진 질병으로 수확량이 급감해 가격이 역대 최대인 톤당 1만 1,001달러까지 치솟는 등 급등세를 보이고 있단다. 코코아 가격은 지난 10년 동안 2,000∼3,000달러로 안정세가 유지되어 왔었다. 가격이 5배 정도 폭등하자 국내 초콜릿 제조업체인 롯데월푸드는 초콜릿과 빙과류 제품 가격을 평균 12% 인상하겠다고 발표했다.
문제를 해결해야 할 정치권은 대책이나 대안을 내놓는 이를 찾아볼 수 없다. 총선은 끝났지만, 그 누구 하나 대책을 내놓지 않는다. 국민을 책임져야 할 정부와 여당도, 지난 21대에 이어 절대 다수당이 된 야당도 국민 삶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는 듯하다.
어느 정권이건 자연환경을 이길 수는 없는 일이기에 여·야를 떠나 자연환경으로 인한 물가 폭등을 정쟁의 대상으로 삼아 공격할 게 아니라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아야 하지만 여전히 이런 논의는 없다.
온통 뉴스에 특검 이야기만 들린다. 잘잘못을 따져 제대로 된 처벌을 하자는데 반대하는 이는 없다. 하지만 먹고사는 문제도 공론의 테이블에 같이 있어야 한다. 현상이 벌어지면 대책이 있어야 하고, 그 대책을 두고 옳고 그름을 판단해 실행하는 것이 민주주의다. 하지만 대한민국엔 대책 자체가 없다. 폭우는 쏟아지는데 사람 구할 생각이 없다. 안타까울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