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은 지난 20일 원주 오키드호텔에서 도내 중·고등학교 연구부장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23년 배움·성장 스스로 공부하는 학교문화 만들기 사업 성과 공유회”를 개최했다.
이번 성과 공유회는 지난 한 해 스·공·학 프로그램의 우수 사례 및 사업 만족도 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2024년 학교 현장에서의 활성화 방안 모색 및 사업 운영 방향성 등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자 마련됐다.
스·공·학 프로그램은 2023년 처음 도입한 강원 중등 학생 학력 지원 정책 사업으로 배움·성장 중심 교과프로그램 ‘희망키움’기숙사 내실화 프로그램 자기주도 학습역량 신장 프로그램 고3 대학별고사 맞춤형 프로그램 교육과정 취약시기 특별프로그램 수능 그루터기 교과 만들기 학교 자율 특색프로그램의 세부 프로그램으로 운영됐다.
이날 성과 공유회에서는 각 학교가 운영한 특색 프로그램 우수 사례집을 배부했다.
또한, 도내 중학교 4교, 고등학교 4교의 연구부장이 각 학교별 성공 사례를 발표해 공유하는 등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특히 중학교 사례로 소개된 수능 그루터기 교과 만들기 자기주도학습캠프 영어카톡방 운영, 고등학교 사례로 소개된 스터디카페-자율학습 교과별 학습코칭 신입생 대상 봄맞이 마중물 학습캠프 새내기 배움터·알림터 등은 충분히 일반화 가능한 우수 사례로 참석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한편 스·공·학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학부모·교사 대상 만족도 조사 결과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본 사업이 학교 현장의 스스로 공부하는 학교문화 조성에 도움이 됐다는 의견이 현재까지 86%에 이를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2024년 수요조사 결과, 도내 중학교 71% 고등학교 90%가 스·공·학 프로그램을 신청했으며 이는 2023년 중학교 41% 고등학교 88%보다 증가해 올해 성과를 입증함과 동시에 내년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허남호 중등교육과장은 “강원 학생들의 미래를 위해 현장에서 묵묵히 애쓰시는 선생님들의 노고에 무한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표한다”며 “앞으로도 스·공·학 프로그램이 우리 아이들의 공교육 경쟁력 강화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