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벼 정부보급종 전량 미소독 공급, 올바른 종자소독 중요
[국회의정저널] 국립종자원은 변화하는 농업환경에 맞추어 올해부터 농가에 공급하는 벼 정부보급종을 소독이 안 된 종자로 전면 공급한다.
그동안 벼 키다리병 예방을 위해 종자 겉면에 소독처리 된 종자를 공급했으나, 종자를 온탕 소독 후 침지 소독하는 방법이 일반화되면서 소독종자 공급의 필요성이 낮아졌다.
온탕 소독의 과정에서 종자 겉면의 소독약제는 소독효과를 보기 전에 물에 씻겨나가고 이후, 침지 소독시 소독약제를 추가 투입해야 하므로 소독종자에 비해 공급가격이 저렴한 미소독 종자를 사용하면 약제 과다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소독효율 향상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미소독 종자 사용 시 적절한 종자소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키다리병 등 종자 전염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서는 온탕 소독 후 약제 침지 소독을 병행하는 방법이 권장되며 자세한 소독 방법은 동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온탕 소독은 종자를 종자망에 옮겨 담아 보급종 20㎏당 60℃, 200L의 물에 10분간 담근 후 꺼내어 10분간 냉수 처리하며 시간초과로 인한 종자 손상에 주의해야 한다.
약제 침지 소독은 보급종 20㎏당 약액 40L를 기준으로 하며 물 온도 30~32℃에서 24~48시간 동안 담가야 소독 효과가 높으며 1~2㎜ 정도 싹이 튼 것을 확인한 후 파종하면 된다.
또한 벼 보급종 사용농가의 종자 관련 민원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전국 모내기 완료 시기까지 전담팀을 운영한다.
종자 피해 상황을 고려한 단계별 운영으로 민원 발생 시 즉각 대응해 농업인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특히 전담팀을 전국 단위로 구성해 벼 키다리병 예방요령 지도, 육묘 상황 점검, 현장 기술 지도를 적극 실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국립종자원 김규욱 식량종자과장은 “벼 키다리병은 종자소독을 통해 방제가 가능하므로 약제별 적정 희석 배수 등을 준수해 건강한 모기르기에 힘써줄 것”을 농업인에게 당부했다.
저작권자 © 국회의정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