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인천광역시는 최근 평균농도와 등급별 일수에서 뚜렷한 개선의 추이를 보이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 추세를 안착시키고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7개 분야 73개 사업에 2,808억원을 투자, 2021년 미세먼지 저감사업을 추진해 PM10 34㎍/㎥, PM2.5 19㎍/㎥ 목표 농도 달성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2020년 인천형 저감사업 정책효과 유리한 기상 코로나 19로 산업활동 감소 등의 요인으로 지난 해 목표했던 미세먼지 농도를 초과 달성했을 뿐만 아니라, 2024년 PM10 목표 34㎍/㎥를 조기달성 했음을 밝혔다 기 수립된‘2024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의 실행력 확보를 위해 마련된 ‘2021년 미세먼지 저감사업’은 발전·산업 수송 측정·분석 생활 비산먼지 녹지·기타 항만·공항 7개 분야별 배출원 특성을 반영해 배출원 비중이 높은 선박·항만, 건설기계, 비산먼지 집중저감을 위해 분야별 역점사업을 선정하고 추진할 예정이다.
첫째, 발전·산업 분야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 시 석탄화력 발전용량 80%상한 제약 대형사업장, 클린공사협의회, 대기총량사업장 62개사) 감축협약 사전예방적 저감을 위한 대기배출사업장 지원 등을 시행할 예정이며 둘째, 수송 분야는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노후자동차 저공해조치·신차구입 지원 등에 1,882억원을 투자해 도로이동오염원을 집중 저감할 예정이다.
셋째, 비산먼지 분야는 대형건설공사장 비산먼지와 노후건설 기계 사용제한 시·군·구 청소차량 111대, 1사1도로클린제 73대 활용 도로 재비산먼지 저감 29명의 민간감시원을 채용해 미세먼지 불법배출 행위 감시 140개교 운동장 먼지억제 등에 50억을 투자해 미세먼지 직접배출원의 35.3%를 차지하는 비산먼지를 저감하고자 한다.
넷째, 대기오염자동측정망 30개소, 도로 재비산먼지 이동측정시스템을 운영해 인천시 배출원 특성을 파악해 정책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며 다섯째, 시민체감도 개선을 위한 생활 분야는 지하철 역사 및 전동차 미세먼지 개선을 위해 미세먼지측정망 56개소, 493대의 공기청정기, 공조기 개선사업 취약계층 10만매 보급 등 17개 사업에 297억을 지원해 미세먼지로부터 시민과 취약계층 보호에 만전을 다 할 예정이다.
여섯째, 녹지 분야는 35천㎡ 미세먼지 차단숲, 5천㎡ 명상숲 조성 옥외 미세먼지 저감시설 시범설치 등 11개 사업에 75억을 투자하고 일곱째, 항만·공항 분야는 항만·공항 관리계획에 의한 미세먼지 저감 인천국제공항공사 · 인천항만공사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와의 협력을 통해 배출비중이 높은 선박·항만, 항공, 건설장비, 비산먼지에 노력할 예정이다.
유훈수 시 환경국장은 “수도권에서 가장 좋은 미세먼지 농도와 5년 내 가장 좋은 대기 질을 유지한 2020년 미세먼지 저감사업 추진 성과가 지속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모든 유관기관과 부서의 협업과 소통으로 미세먼지 저감사업의 시너지가 발생할 수 있도록 적극적 참여와 협조를 요청 한다”며 시민들의 생활 속 미세먼지 저감 실천 또한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