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원구, 힘들면 힘들다고 말해요.직원 대상 ‘전문심리상담서비스’실시
[국회의정저널] 서울 노원구가 혹시 있을지 모를 직원들의 자살 방지 및 직장에서의 심리적 안정감 형성을 위해 직원 정신건강 보호에 적극 발 벗고 나선다고 밝혔다.
최근 일부 공무원들의 극단적인 선택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최일선에서 민원인 등을 상대하는 구청 소속 직원들도 예외가 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신의 요구가 관철되지 않을 시 불친절로 몰아가는 민원인과 부딪힐 때가 가장 힘들다고 일선 공무원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또한 동주민센터의 경우 민원 중심의 업무환경, 본연의 업무 외 각종 행사 및 잡일을 담당 해야 하고 단속 및 과태료 부과 관련 업무의 경우 수시로 울리는 항의 전화에 시달린다.
특히 코로나19 사회적 상황으로 방역 및 단속, 자가격리 모니터링 등 직원들의 업무 스트레스는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공무원은 공무원을 바라보는 주위 시선이 두려워 힘들다고 쉽사리 털어놓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구는 민원공무원 간담회에서 직원들이 요구한 직원심리 및 치유 프로그램 필요성에 적극 동감하고 올해부터 공무직, 기간제 근로자를 포함한 구청 소속 전 직원 2,421명을 대상으로 직원 심리상담을 지원한다.
전국 530여개소에 상담소를 가지고 있는 전문기관을 선정해 22일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한다.
심리상담 지원 대상은 업무 수행과정에서 발생한 누적된 부정적 경험으로 인한 트라우마 또는 업무스트레스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성격검사를 통해 자신에게 맞는 업무를 알고 싶거나 대인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직원 등이다.
상담신청은 상담 전용사이트, 전화, 모바일앱 ‘상담포유’를 통해 가능하며 상담접수 후 1:1 대면상담 또는 유선상담으로 진행된다.
신청직원에 대해 3회 정도의 기본 상담을 진행하고 상담 후 필요 시 위기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상담을 연장하거나 전문병원과 연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구는 2018년부터 생명존중 문화조성과 자살예방 사업을 적극 추진해오고 있다.
그 결과 2018년 138명이던 자살자율이 2019년에는 119명으로 줄었고 올해는 110명 이하에 멈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구는 올해도 주택관리 노원지역과 생명존중을 위한 MOU체결 및 관내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사랑학교를 진행 생명의 소중함과 자살위기 대처방법들을 홍보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오승록 구청장은 “직원의 정신적 안정은 대민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일”이라며 “건강한 직장문화 조성과 함께 다양한 자살예방사업을 통해 건강한 노원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국회의정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