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2016년 충북 도내 학교협동조합 1호점이 탄생한 이후 학교협동조합이 8개로 증가했다.
이에 맞춰 학교협동조합마다 톡톡 튀는 창의적 활동들도 관심을 끌고 있다.
예를 들면 창업 아이디어를 구상해오면 창업비용 지원해주는 2021 학교에서 실패하기 생활복 디자인 공모 작품 만들어 학생들에게 무료로 나누어 주기 등이다.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복지와 교육서비스도 제공한다.
아침밥 먹기 행사 경제교육 학교 내 협동조합에서 지역화폐 사용하기 플라스틱 용기 음료를 없앤 플라스틱 없는 학교 만들기 우산대여 매점 리모델링 등이 그 예다.
이런 다양한 학교협동조합 활동 사례들을 들을 수 있는 장이 4일 오후 2시 충청북도교육청 유튜브에서 열린다.
충청북도교육청은 오늘 충북교육인터넷방송 행복씨TV를 통해 학교협동조합 안착을 위한 사회적경제교육 포럼을 개최했다.
‘사회적경제교육의 필요성 및 학교협동조합의 교육적 가치 이해’를 주제로 열렸다.
서울시교육청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 장이수 센터장의 발제를 시작으로 학교협동조합을 운영 중인 8개교 중 학생 15명이 학교협동조합 활동 사례를 발표했다.
15명 중 9명은 직접 스튜디오에 출연해 사례를 발표했으며 이동이 어려운 6명은 스튜디오 출연 없이 직접 찍은 활동영상을 송출해 발표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협동조합은 학교를 기반으로 학생, 학부모, 교직원, 지역주민이 자발적으로 설립해 학교교육 및 학생 교육복지 실현에 필요한 공익적 사업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며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와 의사결정 과정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을 실현할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에 따르면 올해 말 학교협동조합은 8개에서 2개 학교가 추가되 10개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열린 이 포럼에는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 윤재국 대리와 은여울중학교 학교협동조합 조합원인 박현우 학생이 진행을 맡았다.
이날 포럼에서 발제를 맡은 장이수 센터장은 민주시민교육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성, 공익적 가치 실현 등 학교협동조합의 의의와 의의, 조합원 유형별 역할, 지원과 제도 확립, 지역 특성을 고려한 운영 모델화 등을 강조했다.
충북 학교협동조합 1호인 충북고등학교는 2019년 충북교육청이 학교협동조합지원센터 위탁사업을 추진하면서 현재 학교협동조합 설립 인가 및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