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광역시청
[국회의정저널] 울산시보건환경연구원이 코로나19 시대를 맞아 태화강국가정원 등 도심내 정원들을 시민들이 안심하고 찾을 수 있도록 피톤치드 발생량을 조사해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 울산 도심내 숲이 조성된 지역과 대조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나무가 많은 정원의 피톤치드 농도가 대조지역인 삼산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태화강국가정원이 피톤치드 농도가 가장 높았으며 울산대공원, 보건환경연구원 순으로 조사됐다.
대표적 도심지인 삼산동이 가장 낮았다.
월별 평균농도는 8월이 가장 높았고 11월이 가장 낮았으며 주간이 야간보다 피톤치도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기온과 일사량이 높은 시기에는 광합성 등 식물의 생리활성도 및 기공에서의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도심지보다 녹지공간이 많은 곳이 피톤치드 농도가 높게 조사됐다”며 “숲과 나무가 있는 정원이 시민들의 심신을 회복시키는 데 큰 도움을 주는 힐링공간의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피톤치드는 ‘식물’이라는 피톤과 ‘죽이다’의 의미인 사이드가 합성된 말이다.
어떤 특정한 분자가 아닌 식물이 그들의 군락을 확장시키기 위해 방어수단으로 방출하는 물질로 산속 등산로를 조금만 걸어가면 풋풋한 냄새를 맡을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나무가 갖는 특유의 향이 바로 피톤치드이다.
피톤치드는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우리의 몸을 쾌적하게 해주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피톤치드 성분 중 파르네솔, 네롤리돌, 보르닐 아세테이트 성분도 조사되었는데 이들 물질들은 진통과 항암, 항염 효과 및 항산화 특성을 가진 물질이다.
저작권자 © 국회의정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