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업기술원, 무 뿌리썩이선충 효율적 방제책 마련
[국회의정저널]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은 제주지역 무 재배 시 가장 큰 문제로 제기되는 ‘뿌리썩이선충’의 발생 특성을 확인하고 효율적인 방제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뿌리썩이선충은 식물체의 뿌리와 토양을 오가며 구침을 통해 뿌리에 피해를 준다.
특히 무의 경우 표면에 갈색 반점과 수포를 발생시켜 품질을 떨어뜨린다.
농업기술원은 2019년부터 올해까지 뿌리썩이선충 방제 연구를 추진한 결과, 여름철 휴한기 1회 경운과 무 파종 직전에 등록 농약을 사용하면 상품률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휴한기 경운을 하면 기주식물이 제거되고 토양 10㎝ 내외에 분포하던 뿌리썩이선충이 토양 표면에 올라오면서 6∼8월 고온에 의해 사멸해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뿌리썩이선충 방제를 위한 약제 처리 시 상품률이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곳보다 67% 이상 높았다.
약제 처리 효과는 파종 한 달 전보다 파종 직전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제 시 동일한 작용기작을 지닌 약제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면 저항성을 일으킬 수 있어 작용기작이 다른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정민 농업연구사는 “월동무 뿌리썩이선충은 재배 중 방제가 어려우므로 파종 전 휴한기에 경종적 또는 화학적 방제를 통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국회의정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