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정저널] 경상남도가 4일 오전 도청 중앙회의실에서 2021년 제1차 지역혁신협의회를 개최하고 제2기 협의회의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경상남도 지역혁신협의회는 경남도의 발전정책에 관한 심의·협의·조정을 위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라 2018년 10월 설치됐다.
그동안 경상남도 발전계획과 시행계획, 규제자유특구계획, 지역혁신성장계획, 지역-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계획 등에 대한 심의·자문 역할을 중점적으로 수행해 왔다.
지난해 11월 1일 구성된 제2기 협의회에서는 특히 동남권 메가시티 조성과 지역균형뉴딜 추진 등 경남도의 주요 정책과제가 집중적으로 다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회의에는 김경수 도지사와 협의회 위원 18명, 경남도의 관계자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먼저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인해 미뤄져 오던 제2기 협의회 위원 위촉장 수여식을 가지고 제2기 협의회장으로 손은일 경남도 정책수석보좌관을 선출했다.
이후 진행된 회의에서는 2021년 경상남도 발전시행계획안과 경남 무인선박 규제자유특구 변경계획안을 심의하고 동남권 메가시티 추진방안과 경남도의 뉴딜 추진현황도 공유했다.
위원들은 지역주도 균형발전과 지역사회 내 혁신역량 확산에 집중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향후 협의회 활동을 통해 경남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김 지사는 위원들에게 위촉장을 수여한 후 인사말을 통해 “지난해 경남의 20대와 30대 순유출 인구가 18,000명을 넘었다.
청년들이 수도권으로 빠져나가는 이 추세를 꺾지 못하면 경남의 미래는 없다”며 청년층 인구 유출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이어 “제일 큰 문제가 일자리와 교육이다.
자기가 하고 싶은 걸 배울 만한 곳이 없고 뭘 배워도 그걸 가지고 써먹을 수 있는 일자리나 일거리가 없다고 느끼는 것”이며 “이 문제를 지역혁신협의회에서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논의해주기를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또한 김 지사는 “결국 수도권이 플랫폼 효과로 모든 걸 빨아들이고 있기 때문에 비수도권 지역도 초광역협력을 통해 권역별 발전전략을 세워야 한다”며 동남권 메가시티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부울경이 어떻게 하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발전방안들을 함께 만들어나갈 수 있을지 함께 논의해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