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1년…서울시민 영화·게임 '집콕' 늘고 노동·이동시간 줄었다

    가정내 활동 증가로 가사 노동 시간 4분 증가, 전업주부는 26분 증가

    by 편집국
    2021-02-04 16:05:15




    서울특별시청



    [국회의정저널] 코로나19는 서울 시민의 생활시간을 어떻게 변화하게 하였을까? 서울시는 코로나19 발생 1년을 즈음해 코로나19 발생 전후에 서울시민의 생활시간 변화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19년 11월과 2020년 11월 서울시민의 평일 하루 생활시간 분석을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만 69세 이하의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서울 시민은 코로나19와 함께한 기간 동안 필수시간 9시간 26분, 의무시간 9시간 2분, 여가시간 5시간 32분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코로나19가 발생하지 않았던 2019년에 비해 필수시간은 3분 감소, 의무시간은 15분 감소, 여가시간은 18분 증가한 결과이다.

    【필수시간】서울 시민의 필수시간은 수면시간은 9분 증가에도 불구하고 개인 건강관리, 개인위생 및 외모 관리 등 개인 유지 시간이 12분 감소되어 평균 3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모든 계층에서 증가했다.

    특히 18세~29세의 수면시간은 19분이 증가되어 수면시간이 가장 많이 증가한 연령층으로 분석됐고 비취업자 계층은 15분 증가했는데, 이는 취업자 계층보다 2배가량 증가한 수치이다.

    개인 유지 시간은 모든 계층에서 평균 12분 감소했는데 특히 여성, 자영업자, 배우자가 있는 여성 중 비취업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했다.

    【의무시간】서울 시민의 의무시간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 가사노동과 학습시간은 증가되었으나, 일하는 시간과 이동시간이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15분 감소했다.

    가사노동시간은 평균 4분 증가했는데, 60~69세의 연령대와 배우자가 있는 여성취업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층에서 증가했다.

    임금근로자 가사노동시간은 소폭 증가된 반면, 자영업자는 20분이나 증가해 코로나19로 생활시간의 변화가 많은 계층으로 파악됐고 배우자가 있는 비취업 여성은 취업 여성보다 30분 정도 더 많이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시간과 이동시간은 모든 계층에서 감소했는데, 18~29세의 연령층에서는 가장 많은 감소 결과를 나타내어 일하는 시간과 이동시간의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여가시간】서울시민의 여가시간은 평균 19분 증가했다.

    미디어 이용, 온라인·모바일 게임 시간 등 실내활동 위주의 시간이 증가했고 문화·관광, 교제·참여, 스포츠·레포츠 시간과 같은 실외활동시간이 감소했다.

    미디어 이용시간은 18~19세와 60~69세 연령층에서 온라인·모바일 게임시간은 40~49세의 연령층에서 이용시간이 두드러지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관광 시간과 교제·참여 시간은 모든 계층에서 감소했으며 특히 배우자가 있는 여성 중 비취업자, 자영업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했다.

    그리고 스포츠·레포츠 이용 시간도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 4분 감소했다.

    코로나19로 인해 생활시간에 많은 변화를 발생한 계층으로는 18~29세와 40~49세의 연령층과 비취업자, 자영업자, 배우자가 있는 여성중 비취업자 계층으로 집계됐다.

    18~29세, 40~49세, 비취업자 계층은 일하는 시간 감소로 인해 이동 시간의 감소와 수면시간의 증가라는 공통점이 관찰됐고 자영업자 계층은 영업시간 제한 등으로 인해 가사노동시간이 늘어났으며 미디어 이용 시간의 증가 등 여가 시간도 함께 늘어난 특징을 보였다.

    배우자가 있는 여성 중 비취업자 계층은 가사노동시간의 증가로 인해 교제·참여, 개인 유지시간은 감소했다.

    2019년에 비해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는 비대면 실내 활동 위주의 행동이 증가했는데, 가장 많이 대체된 행동은 넷플렉스, 유튜브 등의 미디어 이용, 온라인 공연 관람 등의 문화 및 관광 활동, 온라인PC/모바일 게임, 화상회의, 온라인 예배 등 교제 및 참여활동 순이었다.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힘들었던 점은 감염 불안감과 마스크 착용, 모임자제 등의 생활수칙 준수였으나, 미디어 시청 및 동네 산책 등과 같은 소소한 즐거움도 새롭게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코로나19 전후의 생활시간 변화 파악을 통해 서울시민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적극적인 참여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하며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해 서울 시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할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국회의정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전
다음
▲ Back To Top